햄 무전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마약떡볶이 조회 7회 작성일 2023-02-05 00:41:38 댓글 0

본문

아마추어 무전, 차량용 안테나 달면 다를까? | 아마추어무선기사 | HAM | 바오펭 무전기 | UV-5R | BAOFENG

아마추어 무선기사 4급의 사용가능한 최대 출력은 10W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시중에 판매되는 무전기들이 5W 급이다 보니
사실상 외부 안테나 가설 없이는 교신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혹시나 차에서는 잘 될까 싶었지만 역시 녹록치 않았고
차량용 안테나까지 조합을 하면 좋아지지 않을까 해서
차량용 안테나까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하여 장착 후 무전을 해 봤습니다.

차량용 안테나는 설치가 참 까다로워 보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없이 자가로 야매로 진행하다 보니 미흡한부분이 많았습니다

전파 송수신에 드라마틱한 개선은 없어 보이지만
그래도 여러 OM님들의 교신을 들으며 아마추어 무전에서
끼어들 타이밍, 용어, 예절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영상 시청해 주시는 모든분께 감사말씀 드립니다.


#아마추어무전 #HAM #무전
Soo Kwon Kim : 오~! 저도 언젠가는 (핸디가 아닌) 차량용 리그와 안테나를 설치할 생각이라서 계속 관심을 두고 있는데.. 일단 안테나 설치부터 과감하게 실행하셨군요~ㅋㅋ 한편 저도 무선국 개국 후 약 2개월(현재 3급, 10월 초에는 1급 시험 예정)이 되어 가는데 역시 아직까지는 실제 교신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소심한 CQ를 날려보긴 했지만 너무 늦은 야간시간대라 무응답ㅋ) 다만, 핸디형 무전기는 거의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수신하고 있고, DV통신도 이미 시도해서 경험하고 있으나 역시 수신 위주로 경험하는 상태이며, 최근에는 all band 수신을 해보기 위해서 SDR 리시버를 구매해 배송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같은 아마추어 무선사로서 오늘 영상에 대한 의견을 좀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교신 경험이 없거나 거의 하지 않게 되는 근본 문제는 '본인의 의지와 성향'에 더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우 그동안 교신을 하고자 했다면 (DV통신 포함)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었지만 제 스스로 다른 분의 CQ에 응답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유튜버 '공돌이파파'님도 이 부분에 대해 잠깐 언급하셨던 적이 있었는데, 간단히 말해 '딱히 할 말이 없다'는 것입니다ㅋㅋ 물론 아마추어 무선 자체가 사교나 친목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전파 및 통신 분야를 탐구, 연구하면서 원활하고 깨끗한 송수신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OM님들과 그에 관한 교신을 주고 받으면 되는 것인데, 제 스스로 돌아보면 (현재로서는) '송신'보다 '수신'에 더 집중하고 싶은 것이 솔직한 상태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ㅋ 이 상태는 아마도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는 생각, 또는 단순히 용기를 내지 못하거나 그냥 내성적인 성격 때문일 수 있으니 의지와 성향의 문제라 보는 것입니다.

2) 아마추어 무선 분야의 인기가 시들해지거나 또는 무선기사 자격 4급 취득 후 갈림길에 서게 되는 이유는 '필요(관심)/비용/환경'의 문제일 것이라 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전파 송수신 내지 통신에 대해 굳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인식과 설령 관심이 있어서 시도해보고 싶어도 그런 활동을 지속하려면 장비 구매 등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는 것, 또한 비용을 들여 장비를 갖추고 싶다고 해도 대부분 도시의 집합건물에 살기 때문에 그런 장비를 설치, 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담이 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3) 즉 개인의 필요와 성향, 비용, 환경 등의 문제가 있어 아마추어 무선 활동이 위축된 상황인 것이지 '5W 안테나 출력의 핸디형 무전기'라서 교신이 어려운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차량용 whip 안테나 설치 후 핸디형 무전기에 장착된 helical 안테나와 수신 상태를 비교해주셨는데, 수신 감도는 분명 차이가 있었을 것이라 보고(물론 그 차이가 무의미할 수도 있지만), 수신 상태는 아시다시피 변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단지 핸디형 무전기라서 '아마추어 무선 활동이 어렵다'고 단정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 특히 핸디형 무전기가 '5W'라는 것은 출력(송신)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신 상태와 아무 관련이 없기도 합니다. 그보다는 잘 아시다시피 가시거리(LOS)가 중요한 VHF/UHF 전파 특성 때문에 도심에서는 전파 장애물이 많아 교신이 어려운 것이고, 각 지역의 중계기(repeater)를 통하더라도 교신하는 횟수 자체가 적으니 송수신 경험이 적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 봅니다.

4) 그래서 다른 OM님께서 댓글에 언급하신 것처럼 산 정상 교신(SOTA)이나 DV통신 등을 추천해주신 것인데,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교신'은 (제 생각에) 개인의 의지와 성향에 더 좌우되는 것이어서 '5W 출력의 핸디형 무전기'의 문제나 '4급 자격의 제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마추어 무선 활동의 의미나 재미는 여러 제한 사항들을 극복하여 더 다양하고 나은 교신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더 좋은 장비와 더 높은 단계의 자격증을 원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긴 댓글이 되었는데, 저 역시 휴직맨님과 같이 아마추어 무선에 계속 관심을 두고 있다보니 제 의견을 좀 자세히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오는 10월 8일 1급 시험을 앞두고 있습니다만.. 공부는 시작도 하지 않은 채 걱정만 하고 있습니다ㅋㅋㅋ 문과 출신이라 '전파공학'이 가장 두렵네요. 모스 부호도 잘 외워지지 않고..ㅋ 물론 이번에 안되더라도 내년 상반기에 다시 도전할 것이고 될 때까지 할 생각입니다. 제 꿈이 시골에서 사는 것인데, 시골집을 얻게 된다면 베이스 리그 및 단파 안테나 설치해서 나름의 HAM shack를 꾸미고 싶습니다. 물론 그때에는 제가 교신 활동도 더 적극적으로 하는 모습이 되어 있어야 하겠지요. 하하^^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DE​​​​​ Let's Get It!
Op. Soo Kwon Kim 드림


아~!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혹시나 싶어 말씀드리면.. 차량 이동국을 운영해 송신하시려면 '아마추어 무선국 변경 신청'을 통해 차량 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현재는 수신만 하신 것이라 문제될 것이 없겠고 이미 신청을 완료하셨을 수도 있겠지만 노파심에 말씀드립니다. 온라인으로 간단히 신청(차량등록증 스캔 파일 필요)할 수 있고, 지난번 비인가 무전기 때문에 경험하셨던 검사 절차 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신청하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요즘아빠 : 한 20년 쯤에 차에 차량용cb달고 다니면 국도나 고속도로에서 꽤 자주 무전을 했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지방 갈 때도 나름 재미가 있었지요ㅎㅎ 차 바꾸면서 탈착한 cb와 도시락도 몇년전에 팔았네요ㅋㅋ
저도 옛날 생각이 나서 핸드cb도 달고 배오팽 무전기 등도 구입했는데... 안테나 문제인지 무선 통신을 안 하시는건지 좀처럼 컨택이 어렵더라고요^^
Minkyu Jeong : 5W도심지는 단거리인데 중계기 산쪽으로는 20KM도 거뜬히 전파가 날라가더군요
Allonsy : 와 콜싸인이 유니크 하시네요! ktx라니.. 부럽습니다 ㅎㅎ
QRZ : 5W 바오펭 충분합니다.저도 휴직맨님 처럼 무전이 없었는데요
베란다에 안테나 설치를 하고 무선통신에 눈을 뜨기(?) 시작 했네요.
지역이 어디신지는 모르겠지만 근처에 공용으로 쓸수있는 안테나가 있습니다.
남한산성이나 광교산,법화산 등 다양한 곳 에 있는 안테나를 이용하면 144에서도 장거리 교신이 가능할 것 입니다

VJ 특공대 - 아마추어 무선사들의 글로벌한 무선!. 20180126

아마추어 무선사들의 글로벌한 무선!
Tony Hwang : 여기는 소년시절 광석 라디오를 만들기도 하고 커서는 장사동 상가를 늘 돌아다니며 군용불하품 통신기들을 사다가 주물렀고 5.16후 아마츄어무선이 정식개방되었을때 1급면허 2번을 받았습니다. HM1AY로 호출부호도 받고 군에 입대하는통에 그쳤다가 복학하고 외국으로 나갔네요. 지금은 카나다에서 VE6CGX로 all band, all mode QRV입니다. 아마츄어무선 덕분에 전공도 전자공학을 했고 IT super computer system engineer로 40수년 일하고 은퇴했습니다. 73,
유승훈 : 원래 이런 영상 쳐다도 안봤는데 공돌이 파파때매 첨부터 끝까지 재미지게 봤네요 ㅋㅋㅋㅋ
아수라발발타 : 크~ 이건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완전 고오급~ 취미네요.
아무나 따라도 못하겠네요.
멋진 취미! 모두 멋져 보입니다.
스튜디오 전산실 - Studio Jeonsansil : 교신된다는거만으로 극흥분하시다니 이거시 진정한 취미인가..
iNa Eng : 와 진짜 멋지다... 나도 배워서 해야겠다

바오펭 무전기 합법적으로 쓰고싶어서 한 미친짓 (BAOFENG UV-5R)

언젠간 써먹을 수 있겠죠?
2만원짜리 무전기때문에 14만원내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나란 ㅂ영신
하... 현타온다

아마추어 무선기사 4급 취득부터, 아마추어 무선국 개설 (6K2KTX)
무전기 준공검사까지 2달정도 걸린 미친짓 ㅋㅋㅋ

#바오펭 #아마추어무전 #아마추어무선기사 #BAOFENG #UV-5R #서바이벌무전기 #준공검사
써니Sunny : 그래도 도전하시는 열정적인 휴직맨님 퍄션도 맘에 들어요~~~ 역시 바이클 멋쟁이 휴직맨님~~~
Leon Shim : 부지런하세요 ㅎ 이것저것 새로운것들 많이 하시네요. 잼나게 보고 있어요 ^^
Soo Kwon Kim : 저는 최근 HAM을 알게 되고 관심이 생겨서 이번주 토요일 4급 강습회를 이수할 예정입니다. 여러 정보를 찾아보는 와중에 휴직맨님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마침 저도 인천본부에서 주관하는 강습회를 이수할 예정이고, 향후 갖고 싶은 트랜시버 중에 비인증 기기도 있기 때문에 '방문 준공 검사' 받는 모습까지 볼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니, 처음에는 여행/캠핑 등에서 쓰실 '생활무전'(생활무선국) 정도의 활용도만 생각하고 무전기를 구매했는데, 그 무전기가 자격 및 인가가 필요한 'HAM'(아마추어무선국) 용도의 것이었기 때문에 어쩌다보니 '아마추어 무선기사 자격'까지 취득하고, 또 준공 검사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까지 겪게 된 시행착오를 보여주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겪지 않았지만 확실히 같은 상황에 놓이는 분들도 충분히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시행착오이긴 하더라도 필요한 자격과 인가를 모두 받으셨으니 '성과'로서 잘 마무리하셨다는 생각입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현재 휴직맨님보다 못한 무자격자입니다만^^; HAM의 용도랄지 즐거움은 '지역/국가/세계의 불특정한 누군가(무선사)와 교신하기 위한 것'(물론 그러다보면 지인도 많아지겠지만, 그렇다고 무슨 오프라인 모임 같은 것을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닌 '교신' 관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아직 흥미가 없으시다면 HAM 무전기의 활용도는 아마 거의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 역시 이제 겨우 HAM을 시작하기로 결심하면서 앞으로 어느 수준까지, 혹은 언제까지 하게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휴직맨님의 콜 사인(6K2KTX)은 벌써 각인되어 버렸습니다. 하하하^^ (아마도 한국인이라면 절대 잊지 못할 콜 사인일 겁니다) 언젠가 On Air로 휴직맨님의 콜 사인을 듣게 된다면 꼭 기억하고 응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i Bixby : 바오펭 살까 말까 고민중인데 휴직맨님 영상보니 역시 안사는게 나을 듯... 저는 3급 전화급 라이센스 30여년 전에 따놓은게 있습니다만...
잘나오는볼펜 : 강습만 들어도 되게 했어도 사용하는 사람이 잘 없는.... 안타깝네요..한때는 참 재밋게 교신하며 사람들도 많이 만났었는데.. 정말 전시에나 재난상황때나 다시 꺼내게 될수도...

... 

#햄 무전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865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asmtimes.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