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과의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맨클럽 조회 10회 작성일 2023-03-31 19:57:58 댓글 0

본문

나라는 존재를 느끼는 자아와 의식은 어디로 부터 오는가? 그런게 존재는 할까?

#consciousness #의식 #자아 #자의식 #그런거없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후원 : https://toon.at/donate/knowledge

--------------------------------------
제보 및 비지니스 문의
E-Mail : asdfg3663@gmail.com
Blog : http://blog.naver.com/asdfg3663
카카오톡 오픈채팅 : https://open.kakao.com/o/sKzYho9
--------------------------------------

BGM 정보
Ross Bugden - Rapture :

Ross Bugden - Dragon Slayer :

Ross Bugden - Beyond :

웅장한 느낌의 곡 - TTRM
@20000s : ※ 본 영상에는 제 개인의견이 조금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혼이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혼이 존재한다고 하기엔 의식이 물리적인 충격에 변화를 너무 크게 받는다. 그 얘기는 최소한 영혼이 있다면 물리법칙(특히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한다는 이야기인데 그렇다면 당연히 진작에 영혼이 발견되었어야하는게 아닐까?

또 인간만 영혼이 있어야할까? 강아지,사슴, 물고기, 박테리아, 바이러스한테도 영혼이 있어야할까? 돌이나 모래알갱이, 공기, 우주의 원소마다 있어야할까? 다 같은 원소들로 이뤄져있는데 각기 적용이 다르다면 더 큰 문제다. 물리법칙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대칭성이 없다. 물리학은 발달과정에서 항상 대칭성이 커지는 방향으로만 발전했던 것과 너무 대비된다.

나는 이러한 것들을 모두 고려해서 생각한다 고로 나는 영혼의 존재를 믿지 못하겠다.
(모두 개인 의견 입니다.)

영상 Reference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09/03/090316201459.htm
@user-gp9so9mk5n : 부처님 당신은 대체 어디까지 내다본겁니까 ㄷㄷ
@user-ws8ei2pc5r : 지식보관소 채널 보면, 대부분의 영상이 내가 어릴 적부터 생각해봤거나 관심있었던 부분을 보여주는 것 같아 너무 신기합니다. 자의식, 양자역학, 블랙홀, 천체, 우주, 차원 등등... 나오는 영상마다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너무 신기해요. 물론, 보관소님 만큼 과학적인 조예가 깊은 건 아니지만.. 과학이란 것이 어떤 조건이 주어지면, 그에 따른 같은 결과를 내는 원칙이 있다는 건데.. 그 과학의 대원칙이 진실이라면.. 결국 나란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이미 정해져 있는 게 아닐까... 인생이란게 내가 스스로 선택하는 것 같지만, 사실 놀이기구 롤러코스터를 타듯이 정해진대로 따라가는 게 아닐까.. 이런 생각을 했던 것이 이번 영상에 나와서 또 놀랐네요.
@jangsu1185 : 이 영상 또 다시 봤습니다. 의식과 자유의지에 관한것도 또 올라왔으면 하네요. 양자역학에서 요즘 자유의지에 관심이 있거든요. 항상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angsu1185 : 와 정말 지식보관소님 채널 사랑합니다. 양자역학에서 부터 제가 사회생활 하면서 깨달고 생각하던 부분을 이렇게 올려 주시다니 감사합니다. 과학계에서도 이렇게 까지 연구중이구나 라는것을 알았습니다.

의식이란 무엇인가? - 영화 속 과학 [안될과학-긴급과학]

과연 미래에는 인간의 의식을 컴퓨터로 업로드할 수 있을까?
궤도가 준비한 상큼하고 새로운 콘텐츠, 영화 속 과학 시리즈!
긴급과학에서 영화 트랜센던스와 함께 다루어 보았습니다!

#트랜센던스 #인공지능 #튜링테스트 #정보통합이론 #라이벌이론

◆ Thanks to
Written by Orbit, 정연
Directed by Orbit
Editor: RM BOM
Reference:
[1] Vidal, Jacques J. "Toward direct brain-computer communication." Annual review of Biophysics and Bioengineering 2.1 (1973): 157-180.
[2] Crick, Francis, and Christof Koch. "Towards a neurobiological theory of consciousness." Seminars in the Neurosciences. Vol. 2. No. 263-275. 1990.
[3] Piepoli, Massimo, et al. "A neural link to explain the “muscle hypothesis” of exercise intolerance in chronic heart failure." American heart journal 137.6 (1999): 1050-1056.
[4] Copeland, B. Jack. "The turing test." Minds and Machines 10.4 (2000): 519-539.
[5] Saygin, Ayse Pinar, Ilyas Cicekli, and Varol Akman. "Turing test: 50 years later." Minds and machines 10.4 (2000): 463-518.
[6] Russell, Stuart, and Peter Norvig.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2002).
[7] Baum, Seth D. "Film Review: Transcendence." Film Review 24 (2014): 2.
[8] Foerster, Yvonne. "Singularities and superintelligence: transcending the human in contemporary cinema." Trans-Humanities Journal 9.3 (2016): 33-50.
[9] Park, Soyoung Q., et al. "A neural link between generosity and happiness." Nature Communications 8.1 (2017): 1-10.
[10] Moore, Phoebe V. "Jerry Kaplan artificial intelligence: What everyone needs to know." (2019): 466-470.

◆ Video
Transcendence Official Trailer #1(
)
Transcendence Official Trailer #2(
)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https://soundcloud.com/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https://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 오랜만에 긴급과학이다!
youngmee02 : 이번 주제는 진지하며 진심이고 정말 더 잘 하고 싶은 안될과학팀 긴급과학 궤도님, 아 너무 멋져.. 맘에 듭니다 이번편도
GMO YouTube : 트랜센던스 진짜 감명깊게 봤는데 인공지능이 된 남편이 아내의 계획을 이루고자 하였지만 초월적 존재가 된 인공지능을 무서워하는 사람들로 인해 끝이 좀 씁쓸했던 영화
김범준 : 개인적으로 이러한 주제를 다룬 영화중

블레이드러너
공각기동대
매트릭스

이 세 작품이 최고봉이라고 생각합니다 ^^
Yo!! DJ pump this party : 얼마전에도 생각나서 다시 봤음
과학 철학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영화

생각과 의식은 어디서 생성되며 마음의 실체는 무엇일까?|뇌는 바보다

마음의 실체를 찾아가는 책, "뇌는 바보다"
총 35장 중, 1장 ~ 3장 까지의 내용입니다.
이강학 : 저는 크릭의 견해에 동의합니다. 더 나아가 오래 전부터 궁금해 하던 식물의 마음과 생각, 느낌에 대해서도 꾸준히 알고 싶어 합니다. 최근에는 바이러스의 생각, 마음에 대해서도 궁금해 합니다. 인간만이 생각하고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견해에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간만이 기억을 유지한다는 견해에도 동의할 수 없습니다. 식물인간이라는 용어는 식물 생명체에 대한 모독에 가깝습니다. 느낌, 생각 등의 방법이 다를 뿐, 모든 생명체들은 나름의 느낌, 생각,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생명체는 이유 없이 태어나지 않습니다. '함께 살아 가거라'는 하는 주문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의 느낌, 생각, 마음은 그 주문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저의 견해입니다.
WHITE BOARD : 맞아요 아이들을 봐도 기분이 좋아서 마음이 열려야 공부도 잘하고 독서도 잘하고
해바라기 : 감사합니다 ❤️
용용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혜선 : 영상 고맙습니다.

... 

#물질과의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4,209건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asmtimes.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